고양시에 사는 행복

건강이야기 1163

김세철 명지병원 의료원장, 대한의학회 ‘명예의 전당’ 헌정

김세철 명지병원 의료원장, 대한의학회 ‘명예의 전당’ 헌정 의학 발전기여 및 사회헌신 봉사한 존경받는 의학자 추대 6일, 대한의학회 제54주년 기념식 및 헌정식 개최 김세철 명지의료재단 의료원장(전 중앙대 의무부총장)이 후학들이 추대하는 최고의 의학자, 대한의학회 명예의 전당에 헌정된다. ‘명예의 전당’은 대한의학회가 국내 의학 발전에 위대한 업적을 남기고, 사회에 헌신하고 봉사한 존경을 받는 의학자들을 기리기 위해 설립된 가상의 기념관으로 지난해까지 모두 99명이 헌정됐다. 김세철(비뇨의학과)의료원장은 대한의학회(회장 장성구)로부터 김국기(신경외과), 조한익(진단검사의학과), 유명철(정형외과), 김창휘(소아청소년과) 등의 의학계 원로와 함께 명예의 전당에 헌정키로 추대됐다. 당초 3월에 헌정식을 가질 ..

건강이야기 2020.10.05

명지병원 장진구 교수, 초음파로 난치성 우울증 치료 입증

명지병원-연세대 공동연구팀, 초음파로 난치성 우울증 치료 치료저항성 우울증 환자 4명 고집적 초음파 뇌수술 진행 우울증 객관적 평가 83%, 주관적 평가 61% 하락 결과 확인 국내 의료진이 고집적 초음파를 이용해 난치성 우울증(치료저항성 우울증)을 치료하는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명지병원과 연세대 공동 연구팀은 공동으로 고집적 초음파를 이용한 난치성 우울증(치료저항성 우울증)의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 국제 저널인 Bipolar disorders에 게재됐다.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장진구 교수는 연세대 의대 김찬형(정신과)ㆍ장진우(신경외과) 세브란스병원 교수와 공동으로 여러 치료 방법에도 효과가 없었던 치료저항성 우울증 환자 4명에게 고집적 초음파뇌수술(MRgFUS)을 진행했고, 치료 후 1년 ..

건강이야기 2020.09.22

"환자 도착 10분 전입니다"- 코로나19 의료진 수기(명지병원 곽상금 간호사)

“환자 도착 10분 전입니다” 드디어 애니메이션 영상이 공개됐습니다. ‘코로나19 의료진 감동사례 대국민 수기 공모전’ 대상 수상작(명지병원 곽상금 간호사의 수기)이 유튜브에 업로드 되었습니다. #코로나19, #COVID19, #감동수기, #명지병원, #감염관리팀, #곽상금, #간호사, #의료기관평가인증원, #보건복지부 https://youtu.be/lXGYSPpSq3s

건강이야기 2020.09.21

코로나19 확진환자... 이렇게 살렸다 "환자 도착 10분전입니다!"-명지병원 곽상금

‘코로나19 의료진 감동사례 대국민 수기 공모전’ 대상 수상작 - 보건복지부, 의료기관평가인증원 “환자 도착 10분 전입니다” blog.naver.com/golfer81/222091739259 환자 도착 10분전입니다! - 코로나19 확진환자... 이렇게 살렸다 -명지병원 곽상금 ‘코로나19 의료진 감동사례 대국민 수기 공모전’ 대상 수상작- 보건복지부, 의료기관평가인증원 “환자 ... blog.naver.com 2020년 5월 26일 20시 30분, 1층 선별진료소 옆 대기 공간에는 레벨D 보호복으로 단단하게 무장한 응급의학과 전공의 선생님과 보안팀 선생님이 비장한 모습으로 서 있었다. 가벼운 목 인사를 나눈 후 가운과 장갑, N95마스크 등 보호구를 착용하고 “환자 도착 10분 전”이라고 외쳤다. 의..

건강이야기 2020.09.17

명지병원, ‘치매의 원격진료’ 주제 MJ치매포럼 개최

명지병원, ‘치매의 원격진료’ 주제 MJ치매포럼 개최 18일, 경기도광역치매센터와 공동으로 주최 치매아카데미 겸해 ‘줌(ZOOM)’ 통한 온라인 진행 명지병원(병원장 김진구)이 오는 18일 경기도와 공동으로 코로나19 시대의 치매의 비대면 원격진료의 현황과 법적 검토, 향후 전망을 살펴보는 MJ치매포럼과 치매아카데미를 개최한다. 명지병원 백세총명치매관리지원센터와 경기도광역치매센터가 주관하는 MJ치매포럼 & 치매아카데미는 이날 오후 2시부터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을 이용한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인(IN)코로나 시대를 맞아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원격의료’에 대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개최되는 이번 포럼과 아카데미는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실제 의료현장에서 활동되고 있는 원격 치매진료의 경험..

건강이야기 2020.09.16

명지병원, 러시아 중증 간암•코로나19 환자 성공리에 치료

명지병원, 러시아 중증 간암•코로나19 환자 성공리에 치료 1주일을 돌아서 입국, 코로나 치료와 간암 색전술까지 일사천리 진행 정부의 중증 외국인 환자 ‘의료기관 격리’ 지침 시행 첫 케이스 중증 간암의 러시아 환자가 1주일이 넘는 여정을 거쳐 방한, 도착 후 확진받은 코로나19와 간암 치료를 모두 성공리에 받고 돌아갔다. 2일 명지병원에 따르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거주하는 62세 레메쉐드 빅토르씨는 지난 3월 재발된 간암을 명지병원에서 치료받기 위해 사전 연락과 절차를 밟았다. 그러나 코로나19가 심각하게 확산되는 시점이라 쉽사리 러시아를 떠날 수 없었고, 급기야는 항공편마저 운행이 중단되는 난관에 봉착했다. 명지병원 의료진과의 영상 원격진료를 통해 간암의 진행상황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던 빅토르 씨..

건강이야기 2020.09.10

명지병원 간센터- 습관성 음주는 80~90%가 지방간

습관성 음주는 80~90%가 지방간 중증 알콜간염 발병 1개월 이내 사망률 40% https://youtu.be/ZcAEDbDd5yc ​ 전 세계적으로 음주는 질병과 신체장애를 발생시키는 대표적인 위험 요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 ​음주가 이처럼 위험요인으로 꼽히는 것은 알코올성 간질환 때문입니다. 음주로 인한 사망은 모든 사망 원인의 4%를 차지하고 있는데 간경변증과 간세포암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이 음주로 인한 사망의 25%를 차지합니다. 알코올 관련 사망자 수도 연간 10만명 당 9.6명으로 높습니다. 알코올성 간질환은 바이러스 간질환과 마찬가지로 만성 간질환입니다. 음주에 의해 발병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은 지방간, 간염, 간경변증 및 간세포암의 다양한 범주를 포함하는 질환군을 말합니다. 서구권에서..

건강이야기 2020.08.26

‘감염병 거점병원 = 안전한 병원’ 명지병원 긍정적 인식

코로나 시대 “병원가기는 꺼려졌지만, 확진자 치료병원 신뢰도 UP” 명지병원, 코로나 사태 이후 환자들의 병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 ‘감염병 거점병원 = 감염관리 잘하는 안전한 병원’ 긍정적 인식 감염병 시대 ‘안전 및 감염관리 능력’이 병원 선택의 중요 기준 부상 코로나19 사태 이후 환자들은 ‘감염병 거점병원’이 곧 ‘감염관리 잘하는 안전한 병원’이라는 긍정적 인식을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코로나19로 병원 방문이 꺼려지기는 했으나, 확진자를 직접 치료하는 거점병원이나 감염관리 등의 방역을 잘하는 병원에 대해서는 그 영향이 적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긍정적으로 인식이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코로나19 거점병원인 명지병원(이사장 이왕준)의 코로나블루치유지원단이 지난 7월 ..

건강이야기 2020.08.26

뉴 버전의 명지병원 국제진료센터 확장 개소

명지병원, 코로나19 파고 넘는 글로벌헬스케어 혁신 시작 11일, 전담의와 원격진료시스템 갖춘 뉴 버전의 국제진료센터 확장 개소 인(IN) 코로나 시대에 걸맞은 안전하고 수준 높은 글로벌 진료시스템 명지병원(병원장 김진구)이 인(IN) 코로나시대에 걸맞은 해외환자 진료시스템을 갖추고 글로벌 헬스케어의 혁신을 시작한다. 명지병원은 지난 11일 이왕준 이사장과 김세철 의료원장을 비롯한 임직원, 고양시 및 고양시컨벤션협의회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M관 1층에서 국제진료센터 확장 이전 및 국제원격진료센터 개소식을 가졌다. 이와 함께 해외환자 전담 의료진을 영입, 국제진료센터장으로 전담 배치하고 음압수술실을 비롯한 코로나19 혁신 진료시스템을 연계한 새로운 버전의 국제진료시스템을 갖췄다. 지난 2010년 해외..

건강이야기 2020.08.26

명지병원 이용걸 교수 논문, 세계적 권위지 JBJS에 등재

명지병원 이용걸 교수 논문, 세계적 권위지 JBJS에 등재 “세균성 어깨관절염 진단에 대한 명확한 새로운 분류체계 제시” 평가 세균성 어깨관절염 진단에 대한 새로운 분류체계를 제시한 정형외과 이용걸 교수의 연구 논문이 세계적 권위의 정형외과 학술지 JBJS(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American) 최근호에 등재됐다. 명지병원 정형외과 이용걸 교수가 경희의대 재직시절 총괄 진행한 이 연구 논문은 ‘MRI 기반 세균성 어깨 관절염의 진단에 대한 새로운 분류 체계의 보고 및 수술 후 예후에 대한 분석(The Prognostic Value of a Novel Magnetic Resonance Imaging-Based Classification for Septic Ar..

건강이야기 2020.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