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에 사는 행복

삼락이야기

눈부시게 찬란한 통영의 봄날, 그 빛나는 감성과 경험

안청장 2016. 4. 21. 09:00

 

 

문화예술의 도시 통영

눈부시게 찬란한 통영의 봄날,

그 빛나는 감성과 경험을... ​

 

통영 운하 

 

통영은 수많은 예술가와 인연이 깊은 도시다. 눈부시게 찬란한 통영의 봄날, 그 빛나는 감성과 경험을 함께 나누고 싶어 그들을 찾아 나섰다.

                                                                                                                            글, 사진 박은경

 

 

 

통영은 다도해 부근에 있는 조촐한 어항이다. 부산과 여수 사이를 내왕하는 항로의 중간 지점으로서 그 고장의 젊은이들은 ‘조선의 나폴리’라 한다. 그러니만큼 바다빛은 맑고 푸르다. (중략)

간창골에서 얼마를 가파롭게 올라가면 서문이 있다. 그곳을 일컬어 서문고개라 한다. 서문 밖에는 안뒤산의 한 줄기인 뒷당산이 있는데, 그 뒷당산 우거진 대숲 앞에 충무공을 모신 사당 충렬사가 자리잡고 있다.

이 일대는 이곳의 성지라 할 만한 지역이다. 충렬사에 이르는 길 양켠에는 아름드리 동백나무가 줄을 지어 서 있고, 아지랭이가 감도는 봄날 핏빛 같은 꽃을 피운다.

그 길 연변에 명정골 우물이 부부처럼 두 개가 나란히 있었다. 음력 이월 풍신제를 올릴 무렵이면 고을 안의 젊은 각시, 처녀들이 정화수를 길어내느라고 밤이 지새도록 지분내음을 풍기며 득실거린다.

- 박경리 ‘김약국의 딸들’ 중에서

 

 

 

박경리를 기억하는 시간, 서피랑

서피랑은 작가 박경리가 태어난 곳으로 소설 ‘김약국의 딸들’의 배경이 됐다. 서피랑은 ‘서쪽 끝에 있는 높은 벼랑’이라는 뜻이다. 건너편 동쪽 끝에는 벽화마을로 유명한 동피랑이 있다. 동피랑이 관광객들로 늘 북적이는데 반해, 서피랑은 어딜 가나 한산하고 여유롭다.

 

 

서피랑 99계단 

서피랑 99계단 

서피랑 99계단 

 

서피랑은 두 발로 구석구석 누벼야 제맛을 알 수 있다. 출발지는 99계단이다. 1980년대까지 이곳은 선원들이 긴 조업을 마치고 술과 함께 회포를 풀던 집창촌이었다. 지금은 ‘숨기고 싶은 사연’만 간직한 채 그 자취를 감췄다. 대신 알록달록한 벽화와 박경리 작가의 글들이 두 발과 마음을 사로잡는다. 꽃잎 모양 의자와 엉덩이 의자 등 재미난 조형물도 설치돼 있다.

99계단 끝에서 좀 더 오르면 서포루를 만난다. 조선시대 외구의 침입을 감시하기 위해 군영 초소로 쓰이던 누각이다. 2004년 발굴 조사를 거쳐 2008년 문화재청으로부터 복원 승인을 받아 옛 모습을 찾았다.

이곳에 서면 강구안 앞바다와 서호동 시내, 삼도수군통제영과 충렬사까지 한눈에 들어온다. 언덕 아래로 보이는 다닥다닥 이어진 집들 어딘가에는 ‘문학소녀’ 박금이(박경리의 본명)가 있을 것만 같다. 동피랑에서 보던 풍경과는 사뭇 다른 느낌이다. 무엇보다 아직은 찾는 이가 드물어 느긋하게 시간을 보내기 좋다.

 

서피랑 서포루 

서피랑 서포루 앞 조형물 

 

서포루에서 내려와 99계단 쪽으로 나가지 않고, 가던 길로 10분쯤 내려가면 명정골이다. 박경리 작가가 진주여고에 들어갈 무렵 이사한 동네로 충렬사 주차장 맞은편 바로 곁에 자리했다. 좁고 구불구불한 골목을 따라 다 보면 박경리가 살았던 집, 윤보선 대통령 부인 생가, 두석장 김덕룡의 집, ‘김약국의 딸들’의 배경이 된 하동집 등을 만난다. 하지만 현재 한옥 게스트하우스로 운영 중인 하동집을 제외하고는 안을 들여다볼 수 없다.

 

 

서피랑 명정골 

서피랑 명정골 

 

표지판만 보고 발길을 돌려야 하는 아쉬움은 박경리 작가의 글로 달랜다. 박경리가 거닐던 골목 곳곳에 그가 남긴 글귀가 적혀 있다. ‘작가는 시작이 아닙니다. 결과지요, 아니 아닙니다. 작가에게는 결과도 없습니다.

인생 자체에 결과가 없기 때문입니다. 오직 죽음이 있을 뿐’ 같은 문구가 마음을 친다. 소설 ‘토지’를 완성하기 위해 25년간 자신을 글 감옥에 가뒀던 박경리의 깊은 외로움이 고스란히 전해지는 듯하다.

골목을 빠져나와 길을 건너면 충렬사다. 충무공 이순신의 위패를 모셔둔 사당으로 1606년에 세워졌다. 매년 충무공 탄신제가 열리는 4월 28일이면 사당 앞뜰에서 승전무가 시연된다. 경내에 심어진 수령 400년 된 동백나무는 매년 봄 ‘핏빛 같은 꽃’을 피운다.

 

충렬사 동백 

 

 

 

사랑에 달뜬 시인 백석의 마음을 보다 

 

 

난(蘭)이라는 이는 명정골에 산다든데

명정골은 산을 넘어 동백나무 푸르른 감로 같은 물이 솟는 명정샘이 있는 마을인데

샘터엔 오구작작 물을 긷는 처녀며 새악시들 가운데 내가 좋아하는 그이가 있을 것만 같고

내가 좋아하는 그이는 푸른 가지 붉게붉게 동백꽃 피는 철엔 타관 시집을 갈 것만 같은데

긴 토시 끼고 큰머리 얹고 오불고불 넘엣거리로 가는 여인은 평안도서 오신 듯한데 동백꽃 피는 철이 그 언제요.

- 백석 ‘통영2’ 중에서

 

 

충렬사 앞길 건너 쌈지공원에는 백석의 시비가 세워져 있다. ‘통영2’라는 시다. 시비 맞은편엔 시에 등장하는 명정샘(정당샘)이 자리했다. 1670년 충렬사에서 쓰기 위해 팠다고 전해진다. 일정·월정 두 개의 우물이 나란히 있는데 위에 있는 일정은 충렬사에서, 아래에 있는 월정은 민가에서 사용했다.

 

충렬사 앞 통영 시비 

충렬사 

 

 

평안북도 정주가 고향인 백석이 통영에 대한 시를 남긴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백석은 한 친구의 결혼식장에서 통영 출신의 열여덟 소녀 박경련을 만나고 첫눈에 푹 빠진다. 그는 박경련을 ‘난(蘭)’이라고 불렀다.

서울에 살던 백석은 난을 만나기 위해 몇 차례 통영을 찾았으나 번번이 바람을 이루지 못했다. 한 번은 작정하고 그녀가 산다는 명정골까지 갔지만, 이날 역시 난의 외사촌 오빠 서병직의 안내로 충렬사 등지를 둘러보는 데 만족해야 했다. 당시 난을 보지 못한 서글픈 마음을 안고 충렬사 외삼문 앞 돌계단에서 쓴 시가 ‘통영2’다.

 

 

백석이 머물렀던 충렬사 계단 

충렬사 앞 명정 

 

 

옛 장수 모신 낡은 사당의 돌층계에 주저앉어서 나는 이 저녁 울듯 울듯 한산도 바다에 뱃사공이 되어가며

녕 낮은 집 담 낮은 집 마당만 높은 집에서 열나흘 달을 업고 손방아만 찧는 내 사람을 생각한다.

- 백석 ‘통영2’ 중에서

 

 

사랑을 앓던 청년 백석은 떠나고 없지만 그의 작품은 통영 곳곳에서 못다 한 이야기를 전한다. 대표적인 곳이 강구안 뒷골목이다. 이곳 담벼락에는 ‘통영1’, ‘통영2’, ‘통영-남행시초2’를 비롯해 백석의 시 20여 점이 걸려 있다. 자동차와 사람들이 마구 뒤엉킨 포구 앞 문화마당과 달리 조용한 분위기에서 그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기 좋다. ‘강구안길’이라고도 불리는 이 골목엔 화가 이중섭, 작곡가 윤이상의 흔적도 있다.

1952년부터 1954년까지 통영에 살았던 이중섭은 이곳에서 ‘흰소’, ‘황소’ 등 소 그림 연작을 그리기 시작했고 ‘달과 까마귀’, ‘부부’, ‘가족’, ‘도원’ 등의 대표작을 완성했다. 당시 이중섭이 지내며 그림을 가르쳤경남도립 나전칠기기술원 양성소 건물이 강구안 골목에 남아 있다.

 

강구안 뒷골목 

이중섭이 머물던 경남도립 나전칠기기술원 양성소 건물  

강구안길 입구 물고기 조형물 

 

강구안길 입구를 장식하는 거대한 물고기 조형물 역시 이중섭의 그림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이다. 프랑스 조형예술집단 ‘아트북콜렉티브’가 이중섭의 작품 ‘물고기와 노는 세 아이’에 등장하는 물고기를 형상화했다.

윤이상의 가곡 ‘달무리’도 작품이 되어 강구안 골목 한쪽을 장식하고 있다. ‘달무리’ 악보 위에 꽃바구니 자전거를 걸어둔 ‘윤이상과 달무리’다. 이중섭 물고기를 만든 ‘아트북콜렉티브’의 작품으로 바퀴를 구르면 금방이라도 음악이 흘러나올 것만 같다.

 

 

강구안길 오래된 풍경 

강구안길 오래된 풍경 

강구안길 인력거 투어 

 

소박한 강구안길은 천천히 걸어도 좋지만 인력거를 타고 누비는 것도 한 방법이다. 인력거로 골목을 여행하는 기분은 마치 소설의 한 장면 속으로 들어갔다 나온 것처럼 낭만적이다. 통영 토박이인 이승민 씨가 인력거를 몰고 강구안의 여러 골목을 달리며 설명을 곁들인다. 시인 백석의 수줍고도 거친 순애보와 이중섭의 통영 시절 이야기 등을 듣다 보면 어느새 40분이 훌쩍 지난다. 60년 가까이 풀무질을 멈추지 않은 ‘삼성공작소’, 30여 년 동안 목욕물을 끓여온 ‘시민탕’ 등 정겹고 구수한 가게를 구경하는 재미도 상당하다. 인력거는 한 번에 2명(아이 포함 3명)까지 탈 수 있다. 요금은 1인 2만원, 2인 3만원이다. 인력거가 1대뿐이므로 하루 전에 미리 예약하는 게 좋다. 통영라이더 010-3226-7731

 

강구안 포구 

 


 

 

통영 아트 투어

 

통영에는 예술인들을 기리는 기념관이 10여 개 있다. 이 중 몇 곳을 골라 소개한다.

 

 

전혁림 미술관 

전혁림 미술관 

 

통영의 색을 닮은 전혁림 미술관

색채의 마술사, 다도해의 물빛 화가, 한국의 피카소. 모두 전혁림 화백을 일컫는 다양한 수식어들이다. 전혁림 화백은 30여 년간 생활하던 집을 헐고 미술관을 지어 2003년 개관했다. 전 화백과 아들 전영근 씨의 작품을 타일로 재구성해 단장한 미술관 외벽이 그 자체로 하나의 작품이다. 전시실에서는 전혁림 화백의 강렬한 작품들과 생전에 쓰던 물감 캔버스 등이 상설 전시된다. 아트숍과 카페가 있는 별관에서는 전혁림 작품을 모티브로 한 다양한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주소 경남 통영시 봉평동 봉평1길 10  전화 055-645-7349  관람시간 10시~17시  휴관일 매주 월요일, 화요일  관람료 자율관람료  홈페이지 www.jeonhyucklim.org

 

 

 

윤이상 기념관 전시실 

윤이상 기념관 전시실 

윤이상 음악계단 

 

세상의 모든 소리가 음악이었다, 윤이상 기념공원

작곡가 윤이상의 생가가 있던 도천동 일대에 그를 기리는 공원과 기념관이 들어섰다. 공원에는 독일 베를린에서 그대로 옮겨온 집과 가문비 나무가 우뚝 서 있고, 주차장 유리 부스엔 그가 타던 벤츠 승용차가 덩그러니 놓여 있다. 기념관 내부엔 그가 생전에 사용하던 악기와 친필 악보, 옷 등이 전시돼 있다. 기념관 뒤쪽에는 열정적으로 지휘하는 윤이상의 모습이 그려진 음악계단이 있다.

주소 경남 통영시 중앙로 27  전화 055-644-1210  관람시간 9시~18시  휴관일 매주 목요일  입장료 무료  홈페이지 www.isangyunmemorial.com

 

 

 

박경리 기념관 

박경리 기념관 

박경리 기념관 시비 

 

토지에 잠들다, 박경리 기념관

미륵산 중턱에 자리해 한려수도가 눈앞에 시원하게 펼쳐진다. ‘토지’의 친필 원고를 비롯해 작가의 생애와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유품 등이 전시돼 있다. 전시실 한쪽엔 원주 단구동의 작업실을 고스란히 옮겨놓았다.

켜켜이 쌓아놓은 서적, 손때 묻은 국어사전 등 집필에 몰두했던 흔적을 생생하게 살펴볼 수 있다. 기념관 뒤쪽으로는 묘소가 자리한다. 묘소 옆 공원에서는 박경리 작가가 생전에 남긴 주옥같은 글귀를 만날 수 있다.

주소 경남 통영시 산양읍 산양중앙로 173  전화  055-650-2541~3  관람시간 9시~18시  휴관일 매주 월요일  입장료 무료  홈페이지  pkn.tongyeong.go.kr

 

 

 

김춘수 유품전시관 

김춘수 유품전시관 

 

꽃의 시인, 김춘수 유품전시관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젊은 시절 누구나 한 번쯤은 읊조려봤을 김춘수의 시 ‘꽃’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시로 손꼽힌다. 통영항이 한눈에 보이는 유품 전시관에는 그의 대표작 ‘꽃’,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등이 그림과 함께 전시돼 있다. 육필 원고와 쓰던 가구, 옷가지, 생전에 즐겨 듣던 LP판, 아내에게 보낸 편지와 엽서 등도 볼 수 있다.

주소 경남 통영시 해평5길 142-16  전화 055-650-2670  관람시간 9시~18시  휴관일 매주 월요일  입장료 무료

#통영, #청사초롱, #한국관광공사, #명지병원, #명지의료재단, #여행, #박경리​

한국관광공사 청사초롱 바로가기

http://kto.visitkorea.or.kr/kor/notice/cheongsachorong/SpecialTheme/choBoard/view.kto?instanceId=35&id=426457